-
홈서버 운영기 - proxmox 에서 파이코인 채굴 vm 추가 하기Projects/홈서버 운영기 2025. 3. 23. 19:08
이번 글에서는 Proxmox에서 window VM을 설치하고 파이코인 채굴 노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을 작성하겠습니다.
저는 홈서버에 Proxmox OS를 올려서 사용중입니다.홈서버에서 코인 채굴을 돌리면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파이코인은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내 컴퓨터가 인증 역할을 해주는 방식이라서 리소스 부담이 적습니다. 대신, 코어 수가 많을수록 노드 점수를 높게 받아 채굴 속도가 증가합니다. VM 생성 연습도 할 겸, 서버를 놀릴 수도 없으니 운영해보았습니다. 😃
파이코인은 리눅스 환경에서 채굴하기에 리눅스 가상머신을 돌릴수 있는 환경이 필요한데 웃긴게 코인을 채굴하는 걸 인증/보상 확인해주는 프로그램은 windows, mac os 만 지원하고 리눅스는 지원을 안합니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proxmox(리눅스) 에서 가상머신(windows) 환경을 돌리며 그안에서 다시 가상 머신으로 리눅스를 돌리는 진귀한 형태가 되었습니다.
참고. 스크린샷은 모든 작업을 완료한 후 캡처되어서 최초 생성과 다를수 있습니다.
🛠 1. Proxmox에서 Windows VM 생성하기
1️⃣ Windows ISO 파일 다운로드
먼저, Proxmox에서 사용할 Windows ISO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2️⃣ ISO 파일을 Proxmox에 업로드
Proxmox의 ISO Storage에 Windows ISO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 Proxmox 웹 UI 접속
- Datacenter → 해당 노드 선택 → Local (storage) → ISO Images
- Upload 버튼을 눌러 Windows ISO 파일 업로드
3️⃣ Windows VM 생성
- Create VM 버튼 클릭
- 일반
- VM ID: 원하는 숫자로 설정
- Name: PiNode (예시)
- OS 선택
- ISO 이미지: 업로드한 Windows ISO 선택
- Type: Microsoft Windows 선택
- System 설정
- BIOS: OVMF (UEFI) 선택 → 상단판에서 Windows 11은 UEFI에서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
- Machine: q35 → 자동자리 디스크, USB3.0 등 현대 하드웨어 지원을 위해 선택하는 옵션이라네요.
- SCSI: 기본으로 남기 → SCSI는 탐색자 디스크 연결 방식의 하나로, VirtIO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고성능 전력을 제공
- TPM (Trusted Platform Module): 활성하기 → Windows 11 설치에 필요, 복호 개인정보와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복호 단위 설비
- 디스크 설정
- Storage: local-lvm
- Disk Size: 최소 64GB 이상 권장 (윈도우 설치를 딱 끝내면 약 50G정도 사용된다. 스왑영역 + 도커 + 파이 네트워크 설치 예상해서 64면 추분할것 같다. 본인은 100G로 생성했으며 현재 47G 정도 여유가 남았다.)
- 캐시 (Cache): Write back → VM에서 읽기/쓰기 개선 성능이 유발. 데이터를 먼저 VM RAM에 저장한 후 이해지를 되돌리는 구조. 복잡한 I/O 보조가 필요한 Windows에 적절.
- CPU 설정
- Cores: 자신의 cpu 스레드 수에 맞춰서 (8600G == 12개). (코어가 많을 수록 노드 점수가 높아짐 cpu가 가진 스레드보다 높게 설정은 가능하지만, 실제 성능을 떨어트릴 수 있음)
- Type: host (최적 성능)
- 메모리(RAM) 설정
- 8GB (8192). 윈도우를 실행하고 wsl을 돌릴려면 8기가는 필요하다.
- 네트워크 설정
- Bridge: vmbr0 (기본 네트워크 브릿지 사용)
- Finish 버튼을 눌러 VM 생성
하드웨어 옵션들은 (core 수, memory 등) 변경이 가능하다. 변경후 머신 재시작을 하면 적용이된다. (적용전이면 주황색텍스트로 표시되어있음) 머신 정지 없이 변경하는 hotswap 기능도 있지만, 미리 설정할 것들이 있다고 한다.
4️⃣ Windows 설치 및 초기 설정
- VM을 부팅하여 Windows 설치 진행
해당 머신의
콘솔
탭으로 이동하면 일반 컴퓨터를 사용하듯이 사용가능하다. 부팅을 한뒤 처음 윈도우설치를 진행하면된다.5️⃣ Pi Network 설치 및 노드 구성, 포트 포워딩
윈도우 내에서 다음 글을 따라 설치했습니다.
파이코인 노드 설치절차(상세)
파이코인 노드 설치 절차입니다. 전 간략한 정보만으로 설치하는 것이 훨씬 더 쉽더군요. https://k0070.tistory.com/5 파이코인 노드 설치절차(요약) 쉽게 노드를 설치 할수 있도록 간략하게 설명합니
k0070.tistory.com
6️⃣ 24시간 유지
이제 컴퓨터가 안꺼지도록 windows 절전 설정을 해제하고 화면꺼짐등의 옵션도 해제합시다.
채굴 서버 이렇게 채굴을 시작하니 조용하던 쿨러 소리가 어느정도 소음을 주기적으로 내뿜기 시작했습니다. 잘때 은근 거슬리더라구요.
cpu, memory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면서 최적화를 하고 싶은데 proxmox는 몇시간 전까지의 값만 ui로 표시해줘서 이를 더 길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봐야겠습니다. 일주일 정도 채굴을 진행했는데 노드 점수는 채굴할때마다 0.02씩 오르네요.
가끔씩 WSL이 급사해서 도커가 멈춰 채굴이 중단되어있어서 중간중간 들어가서 체크를 해줘야 했습니다.
메모리 누수가 있는 것인지... 우선 떠오르는 간단한 해결책으로는
Task Scheduler로 Docker와 Pi Node를 주기적으로 재시작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마치며,
리눅스 서버에 컨테이너만 돌리는 것도 좋지만, Windows VM을 하나 구성해두면 활용도가 꽤 높아보였습니다. 원격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PC로 사용해보고 싶네요.
나름 VM 생성 연습, 자원 효율적 활용 을 해보는 경험이었습니다. 😄
'Projects > 홈서버 운영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홈서버 운영기 #0 - 하드웨어 정하기 (0) 2025.03.20